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47

화장품의 성분 (Ingredients of cosmetics) 2 이어 성분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5) 보습제 화장품에 사용되는 보습제는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폴리올 (Polyol) :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등 - 천연보습인자 (NMF) : 아미노산, 무기염, 젖 산염, 피롤리돈 카르본 산염 등 - 고분자 보습제 : 히알루론산염, 콘드로이친 황산염, 가수분해 콜라겐 등 (히알루론산은 과거에는 닭 볏에서 추출했으나 지금은 미생물 발표에 의해 대량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 외 베타인 등이 있습니다. 6) 방부제 화장품에는 각종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어 공기에 노출되거나 불순물이 침투하게 되면 미생물의 작용으로 부패하게 되는데, 방부제는 이러한 부패를 억제해 줍니다. 따라서 방부제는.. 2022. 5. 29.
화장품의 성분 (Ingredients of cosmetics) 1 화장품은 어떤 성분을 배합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제형을 구현할 수 있어 종류가 매우 다양한 편입니다. 보통은 하나의 화장품당 보통 20개정도의 원료를 사용하고 많게는 50개 정도까지도 가능합니다. 무조건 많은 원료를 사용한다고, 혹은 적게 사용한다고 좋은것은 아니고 목적에 맞게 적절한 원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화장품은 기본적으로 수상(물)과 유상(기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성 성분은 물에 녹는 것이고 대표적으로는 보습 기능을 하는 원료들이 포함됩니다. 유성 성분은 기름에 녹는 것이며, 대표적으로는 오일이나 왁스 등의 원료가 포함됩니다. 앞 글에서 설명한 적이 있듯이 과거 단지 피부에 보습효과를 주는 거나 단순 미적인 매력을 더하기 위한 것이 화장품의 사용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화장품 개발 기술.. 2022. 5. 27.
화장품의 역사 (History of Cosmetics) 화장품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습니다. 다만 인류가 집단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화장을 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위장의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이후에는 신분이나 계급, 종족을 구별하기 위해 시작한 것이 화장의 시초가 아닐까 싶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눈을 강조하고 곤충의 접근을 막기 위해 검 은가루인 코울(kohl)이라는 것을 발랐는데, 눈꺼풀은 초록색, 눈썹과 속눈썹은 검게 칠을 했다고 하고, 벌꿀이나 올리브유에 꽃가루를 섞어서 화장에 사용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또한 목욕 후 식물 오일을 발라서 피부를 윤기 있게 가꾸었는데, 이는 현대의 오일 사용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이후 로마 시대에 접어들면서 귀족층 여성을 중심으로 화장의 널리 유.. 2022. 5. 27.
반응형